반응형

사자성어 34

세이공청(洗耳恭聽) 뜻, 유래

세이공청(洗耳恭聽) 뜻, 유래 洗 씻을 세 耳 귀 이 恭 공손할 공 聽 들을 청 洗(씻을 세, 깨끗할 선) 1. (씻을 세) 2. (물로)씻다 3. 다듬다, 갈고 닦다 耳(귀 이, 잉손 잉) 1. (귀 이) 2. 귀, 오관(五官)의 하나 3. 성(盛)한 모양 恭(공손할 공) 1. 공손하다(恭遜--), 예의 바르다 2. 삼가다(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직분(職分)을 다하다 3. 받들다 聽(들을 청) 1. 듣다 2. 들어주다, 받아들이다 3. 판결하다(判決--) 「귀를 씻고 공손(恭遜)하게 듣는다.」는 뜻으로, 남의 말을 공경(恭敬)하는 마음으로 귀담아 듣는 것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전설(傳說) 상(上)의 천자(天子)인 요임금(堯--)은 허유(許由)에게 왕위(王位)를 물려주려고 했으나, 허유(許由..

교육정보 2023.10.05

백절불요(百折不撓) 뜻, 유래

백절불요(百折不撓) 뜻, 유래 百 일백 백 折 꺾을 절 不 아닐 부 撓 어지러울 뇨(요) 百(일백 백, 힘쓸 맥) 1. (일백 백) 2. 일백(一百) 3. 백 번(番) 折(꺾을 절, 천천히 할 제, 다시 이을 설) 1. (꺾을 절) 2. 꺾다 3. 값을 깎다, 할인하다(割引--) 不(아닐 부, 아닐 불) 1. (아닐 부) 2. 아니다 3. 아니하다 撓(어지러울 뇨(요), 휠 요, 돌 효) 1. (어지러울 뇨(요)) 2. 어지럽다 3. 어지럽히다 「백 번 꺾여도 휘지 않는다.」는 뜻으로, 실패(失敗)를 거듭해도 뜻을 굽히지 않음. 한나라(漢--) 때 교현(橋玄)이라는 사람은 청렴(淸廉)하고 강직(剛直)했다. 강도(強盜)에게 붙잡혀 간 교현(橋玄)의 어린 아들이 다칠까봐 관병(官兵)은 강도(強盜)를 포위(包..

교육정보 2023.10.03

일모도원(日暮途遠) 뜻, 유래

일모도원(日暮途遠) 뜻, 유래 日 날 일 暮 저물 모 途 길 도 遠 멀 원 日(날 일) 1. 날 2. 해, 태양(太陽) 3. 낮 暮(저물 모) 1. (날이)저물다 2. (시간에)늦다 3. 늙다, 노쇠하다(老衰--) 途(길 도) 1. 길 2. 도로(道路) 遠(멀 원) 1. 멀다 2. 심오하다(深奧--), 깊다 3. 많다 「날은 저물었는데 갈 길은 멀다.」는 뜻으로, 이미 늙어 앞으로 목적(目的)한 것을 쉽게 달성(達成)하기 어렵다는 말. 초나라(楚--)의 평왕(平王) 때, 오사(伍奢)는 태자(太子) 건(建)의 태부(太傅)였고, 비무기(費無忌)는 소부(少傅)로 있었으나 성품(性品)이 간교(奸巧)했다. 비무기(費無忌)는 태자(太子)를 배신하고 진(秦)에서 데려온 여자(女子)를 평왕(平王)에게 권하고 아첨(阿諂..

교육정보 2023.10.02

분골쇄신(粉骨碎身) 뜻, 유래

분골쇄신(粉骨碎身) 뜻, 유래 粉 가루 분 骨 뼈 골 碎 부술 쇄 身 몸 신 粉(가루 분) 1. 가루 2. 분 3. 고물(배의 뒷부분) 骨(뼈 골) 1. 뼈 2. 골격(骨格ㆍ骨骼) 3. 기골(氣骨), 의기(義氣) 碎(부술 쇄) 1. 부수다 2. 부서지다 3. 수다스럽다 身(몸 신, 나라 이름 건) 1. (몸 신) 2. 몸, 신체(身體) 3. 줄기, 주(主)된 부분(部分)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진다.」는 뜻으로, 있는 힘을 다해 노력(努力)함. 또는 남을 위(爲)하여 수고를 아끼지 않음. 당나라(唐--) 때 장방(蔣防)이 쓴 전기소설(傳奇小說)로, 당나라(唐--)의 시인(詩人) 이익(李益)과 기생(妓生) 곽소옥(霍小玉) 사이에 얽힌 비극(悲劇)을 묘사(描寫)한 〈곽소옥전(霍小玉傳)〉에 나오는 말이다..

교육정보 2023.10.01

우공이산(愚公移山) 뜻, 유래

우공이산(愚公移山) 뜻, 유래 愚 어리석을 우 公 공평할 공 移 옮길 이 山 메 산 愚(어리석을 우) 1. 어리석다 2. 우직하다 3. 고지식하다 公(공평할 공) 1. 공평하다(公平--) 2. 공변되다(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공평하다) 3. 공평무사하다(公平無私--) 移(옮길 이, 크게 할 치) 1. (옮길 이) 2. 옮기다 3. 늦추다 山(메 산) 1. 메(산(山)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 뫼 2. 산신(山神: 산신령), 산(山)의 신(神) 3. 무덤, 분묘(墳墓) 「우공(愚公)이 산을 옮긴다.」는 말로, 남이 보기엔 어리석은 일처럼 보이지만 한 가지 일을 끝까지 밀고 나가면 언젠가는 목적(目的)을 달성(達成)할 수 있다는 뜻. 옛날, 중국(中國)의 북산(北山)에 우공(愚公)이라는 90세 된 노인(老人..

교육정보 2023.09.30

파죽지세(破竹之勢) 뜻, 유래

파죽지세(破竹之勢) 뜻, 유래 破 깨뜨릴 파 竹 대 죽 之 갈 지 勢 형세 세 破(깨뜨릴 파) 1. 깨뜨리다, 깨다 2. 부수다, 파괴하다(破壞--) 3. 째다, 가르다 竹(대 죽) 1. 대, 대나무 2. 대쪽(댓조각), 댓조각(대를 쪼갠 조각), 죽간(竹簡: 글자를 기록하던 대나무 조각) 3. 부챗살 之(갈 지) 1. 가다 2. (영향을)끼치다 3. 쓰다, 사용하다 勢(형세 세) 1. 형세(形勢) 2. 권세(權勢) 3. 기세(氣勢: 기운차게 뻗치는 형세)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氣勢)」라는 뜻으로, a. 곧 세력(勢力)이 강대(強大)하여 대적(大敵)을 거침없이 물리치고 쳐들어가는 기세(氣勢). b. 세력(勢力)이 강(強)하여 걷잡을 수 없이 나아가는 모양(模樣). 위나라(魏--)의 권신(權臣) 사마염(..

교육정보 2023.09.27

칠전팔기(七顚八起) 뜻, 유래

칠전팔기(七顚八起) 뜻, 유래 七 일곱 칠 顚 엎드러질 전 八 여덟 팔 起 일어날 기 七(일곱 칠) 1. 일곱 2. 일곱 번 3. 칠재(七齋: 죽은 지 49일 되는 날에 지내는 재) 顚(엎드러질 전/이마 전) 1. 엎드러지다 2. 뒤집히다 3. 거꾸로 하다 八(여덟 팔) 1. 여덟 2. 여덟 번 3. 팔자형(八字形) 起(일어날 기) 1. 일어나다 2. (일을)시작하다(始作--) 3. 비롯하다 「일곱 번 넘어져도 여덟 번째 일어난다.」는 뜻으로, 실패(失敗)를 거듭하여도 굴하지 않고 다시 일어섬. 송나라(宋--) 때 범엽(范燁)이 저술(著述)한 후한서(後漢書)에 나오는 이야기다. 전투(戰鬪)에 패(敗)해 쫓긴 장수(將帥)가 조그만 굴(窟)에 몸을 숨겼다. 굴(窟) 입구(入口)에 쳐진 거미줄을 흩어버리고 나..

교육정보 2023.09.26

외유내강(外柔內剛) 뜻, 유래

외유내강(外柔內剛) 뜻, 유래 外 바깥 외 柔 부드러울 유 內 안 내 剛 굳셀 강 外(바깥 외) 1. 바깥, 밖 2. 겉, 표면(表面) 3. 남, 타인(他人) 柔(부드러울 유) 1. 부드럽다 2. 순하다(順--) 3. 연약하다(軟弱--), 여리다, 무르다 內(안 내, 들일 납, 장부 예) 1. (안 내) 2. 안, 속 3. 나라의 안, 국내(國內) 剛(굳셀 강) 1. 굳세다 2. 강직하다(剛直--) 3. 억세다 겉으로 보기에는 부드러우나 속은 꿋꿋하고 강(強)함. ≪당서(唐書)≫의 〈노탄전(盧坦傳)〉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由來)한 말이다. 강직(剛直)한 성품(性品)을 지닌 노탄(盧坦)에 관한 일화(逸話)로, 황제(皇帝)가 후임(後任) 절도사(節度使)로 요남중(姚南仲)을 임명(任命)하자 글공부(-工夫)..

교육정보 2023.09.23

욕심 관련 사자성어(3)

● 권모술수(權謀術數), 권모술책(權謀術策) : 1. 목적(目的) 달성(達成)을 위(爲)해서는 인정(人情)이나 도덕(道德)을 가리지 않고 권세(權勢)와 모략(謀略) 중상(中傷) 등(等) 갖은 방법(方法)과 수단(手段)을 쓰는 술책(術策). 2. 목적(目的)을 위(爲)해 남을 교묘(巧妙)하게 속이는 모략(謀略)이나 술수(術數). 3. 상황(狀況)에 따라 능수능란(能手能爛)하게 대처(對處)하는 수완(手腕). ● 금미지취(金迷紙醉) : 「금종이에 정신(精神)이 미혹(迷惑)되고 취한다.」는 뜻으로, 사치(奢侈)스런 생활(生活)을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 기우(杞憂) : 「중국(中國)의 기(杞)나라 사람이 하늘이 무너질까봐 침식(寢食)을 잊고 근심, 걱정하였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걱정을 나타냄. ● 기인..

교육정보 2023.09.18

친구관련 사자성어 모음

오늘은 친구, 의리, 우정과 관련된 사자성어를 알아보려 한다. ㄱ~ㅎ 순으로 정리했으니, 차례대로 읽어보길 바란다. ● 간담상조(肝膽相照) : 「간과 쓸개를 내놓고 서로에게 내보인다.」는 뜻으로, 서로 마음을 터놓고 친밀(親密) 히 사귐. ● 간목부의(干木富義) : 단간목(段干木)은 의로움이 대단함. ● 강남일지춘(江南一枝春) : 「강남(江南)에서 매화(梅花) 가지 하나를 친구(親舊)에게 보내 봄소식(-消息)을 알린다.」는 뜻으로, 친구(親舊) 사이의 돈독(敦篤)한 우정(友情)을 대신(代身)하는 정표(情表)를 보낼 때 쓰이는 말. ● 거경지신(巨卿之信) : 「거경(巨卿)의 신의(信義)」라는 뜻으로, 굳은 약속(約束)을 뜻하며 성실(誠實)한 인품(人品)을 나타내는 말. ● 견리사의(見利思義) : 눈앞의 이..

교육정보 2023.09.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