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은 참 어렵다.
공부하면 할수록 헷갈리지만, 꼭 알아둬야 한다.
오늘은 자주 틀리는 표현인 '쐬다, 쐐다'를 알아보려고 한다.
과연 어떤 표현이 맞는 표현일까?
ex 1) 오늘 바람이나 (쐬러 / 쐐러) 가자.
ex 2) 날도 좋은데 밖에 나가서 햇볕 좀 (쐬 / 쐐)
정답은??????
ex 1 정답) 오늘 바람이나 쐬러 가자.
ex 2 정답) 날도 좋은데 밖에 나가서 햇볕 좀 쐐.
[쐬다 vs 쐐다] 차이점
[쐬다]
● '쏘이다'의 준말
● (사람이 바람이나 햇볕을) 얼굴이나 몸에 직접 받다.
● (사람이나 동물이 벌이나 쐐기와 같은 벌레에게) 침 따위로 찔리다.
[쐐다]
● '쐬다'의 비표준어
● '쐬다'+어 ='쐬어' = '쐐'
[쐬 vs 쐐] 구분 방법
'쐬다'(O)
'쐐다'(X)
1. '쐬' 뒤에 '-어'를 넣어서
어색하면 '쐬', 어색하지 않으면 '쐐'로 사용하면 된다.
또는
2. 앞서 알려드렸던 [되, 돼] 구별과 비슷하다.
'하'가 어울리면 '쐬'
'해'가 어울리면 '쐐'
1번 구분 예시)
선풍기 바람 (쐬고 / 쐐고) 싶어.
▶ 정답 : 선풍기 바람 쐬고 싶어.
선풍기 바람 쐬(어)고 싶어. → 어색하므로 '쐬'가 맞다.
남편과 산에 가서 바람을 (쑀다 / 쐤다)
▶ 정답 : 남편과 산에 가서 바람을 쐤다.
남편과 산에 가서 바람을 쐬(었)다. → → 어색하지 않으므로 '쐐'가 맞다.
바람 좀 (쐬 / 쐐)
▶ 정답 : 바람 좀 쐐.
바람 좀 쐬(어) → 어색하지 않으므로 '쐐'가 맞다.
바람을 하도 (쐬서 / 쐐서) 감기 걸릴 거 같아.
▶ 정답 : 바람을 하도 쐐서 감기 걸릴 거 같아.
바람을 하도 쐬(어)서 감기 걸릴 거 같아. → 어색하지 않으므로 '쐐'가 맞다.
맞는 말 예시)
이번 주말에 바람이라도 쐬러 가자.
찬바람을 쐬고 나니 잠이 좀 깨는 것 같아.
졸지 말고 가서 바람 좀 쐬고 와.
아무리 바람을 쐐도 잠이 안 깨네.
에어컨 바람 쐬니까 너무 시원하다.
연기를 너무 오래 쐤더니 눈이 아프다.
연기를 너무 오래 쐬었더니 눈이 아프다.
햇볕 좀 쐬고 와.
햇볕을 오래 쐤더니 팔이 다 탔어.
햇볕을 오래 쐬었더니 팔이 다 탔어.
오늘은 '쐬다' vs '쐐다' 한방에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이제 헷갈리지 말자! 맞춤법 틀리지 말자!
다음에 또 만나요. 뿅!
끝.
헤매다 헤메다 맞춤법 쉽게 구분하기
말로 하는 건 쉬운데 글로 적는 게 어려울 때가 있다. 요즘 책을 많이 읽지 않고, 글을 쓰는 일이 많이 없어서 그런가? 올바른 맞춤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책을 많이 읽는 게 좋다고 한다. 하지
bnine.tistory.com
갈게 갈께 맞춤법 쉽게 구분하기
직장생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정말 많이 쓰이는 말 중에 오늘은 '갈게', '갈께'를 알아보려고 한다. 헷갈리는 맞춤법, 틀리지 않고 제대로 써보자. 과연 어떤 표현이 맞는 표현일까? ex 1) 나 준
bnine.tistory.com
틈틈이 틈틈히 이 히 맞춤법 쉽게 구분하기
오늘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중 -이/ -히를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 한다. 많은 표현이 나올 예정이니, 관심 있게 보길 바란다. 과연 어떤 표현이 맞는 표현일까? ex 1) 요즘
bnine.tistory.com
든 던 맞춤법 쉽게 구분하기
보면 볼수록 헷갈리는 맞춤법들이 많다. 오늘은 헷갈리는 맞춤법 중에 [든, 던] [든지, 던지] [든가, 던가]를 알아볼게요! 과연 어떤 표현이 맞는 표현일까? ex 1) (가든 말든 / 가던 말던) 마음대로
bnine.tistory.com
'교육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몇일 며칠 맞춤법 쉽게 구분하기 (1) | 2023.08.19 |
---|---|
메다 매다 맞춤법 쉽게 구분하기 (1) | 2023.08.18 |
지양 지향 맞춤법 쉽게 구분하기 (1) | 2023.08.16 |
헤매다 헤메다 맞춤법 쉽게 구분하기 (0) | 2023.08.15 |
갈게 갈께 맞춤법 쉽게 구분하기 (1) | 2023.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