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이 비슷한 '되', '돼'
개인적으로 '되', '돼'가 제일 헷갈리는 맞춤법이다.
이제 맞춤법 틀리기 싫고, 제대로 쓰고 싶어 기록해 본다.
한방에 구분해서 잘 써보자!
과연 어떤 표현이 맞는 표현일까?

ex 1) 나는 의사가 (되고 싶다 / 돼고 싶다)
ex 2) 나 이거 써도 (되? / 돼)
정답은??????
ex 1 정답) 나는 의사가 되고 싶다.
ex 2 정답) 나 이거 써도 돼?
되 vs 돼 차이점
'되' - '되다'의 어간인 '되'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음.
문장 끝에 올 수 없음.
'돼' - '되다'의 어간 '되' 뒤에 어미'-어'가 붙은 것,
'되어'의 준말 ('돼'='되어')
문장의 끝은 무조건 '돼'로 끝나야 함.
되 vs 돼 구분 방법

'하'가 어울리면 '되'
'해'가 어울리면 '돼'
되다 - 하다(O)
돼다 - 해다(X)
되고 - 하고(O)
돼고 - 해고(X)
되서 - 하서(X)
돼서 - 해서(O)
안됨 - 안 함(O)
안됌 - 안 햄(X)
안되 - 안하(X)
안 돼 - 안 해(O)
됬다 - 핬다(X)
됐다 - 했다(O)
되요 - 하요(X)
돼요 - 해요(O)
맞는 말 예시)
'하'와 '해'를 넣어 어울리는지 확인해 보자.
이건 되고, 이건 안돼.
이번에 휴가 가게 되면, 옷 사야 돼.
이거 너무 오래됐어.
엄마 되는 게 쉬운 일이 아니구나.
설마 이게 되겠어?
이거 이렇게 하면 되는데.
이번에 비 많이 왔는데, 걱정되네.
핸드폰 수리했더니, 너무 잘 되네.
빨리 어른이 되고 싶어.
휴지 사야 되는데 마트에 가자
여름 되기 전에 캠핑하러 가자
이거 잘 된다
이거 잘 돼
이번에 로또 1등 됐어.
거기 안 간지 오래돼서, 다시 가보고 싶어.
나는 이걸 왜 하는지 이해가 안 돼.
밥 먹고 물 꼭 마셔야 돼.
이거 꼭 해야 돼.
이거 해도 돼요?
상황이 그렇게 됐어.
어머 너무 잘 됐다. 축하해.
어디에 물어봐야 돼??
약 먹어도 돼?
오늘은 '되' vs '돼' 한방에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이제 헷갈리지 말자! 맞춤법 틀리지 말자!
다음에 또 만나요. 뿅!
끝.
'교육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든 던 맞춤법 쉽게 구분하기 (0) | 2023.08.04 |
---|---|
안 않 맞춤법 쉽게 구분하기 (0) | 2023.08.02 |
심심한 사과? 사과가 왜 심심? 심심한 사과 뜻 (0) | 2023.07.29 |
왠지 웬지 맞춤법 쉽게 구분하기 (0) | 2023.07.28 |
사흘 나흘 순우리말 날짜 세기 (1) | 2023.07.27 |